2D 영상의 3D 입체 영상으로의 컨버팅
3D 입체 컨버팅의 개념
아날로그나 디지털로 촬영된 2D 영상이나 이미지를 3D 입체 영상으로 변환시켜 주는 컨버팅은 기술은 기존의 수많은 2D 영상들을 3D 입체화하여 새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실사 입체 촬영으로 해결될 수 없는 부분을 해결하는 하나의 솔루션이 되고 있기도 합니다.
컨버팅 기술은 입체 기술 분야 중 가장 많은 작업 시간과 숙련된 기술 인력이 필요하며, 입체 영상 편집, 합성, CG 등 모든 분야에 적용되는 기술입니다. 컨버팅 수법은 다양하지만 어느 방법이든 우선 입력한 2D 영상에 포함된 단안 입체 정보를 해석하고 피사체의 깊이를 추정한 후 결과에 근거하여 양안시차를 포함하는 좌우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 기본 원리입니다.
입체 컨버팅 사업은 매우 노동 집약적이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정밀한 컨버팅 작업 시, 작업 과정에서 영상의 한 프레임마다 모두 수작업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다수의 인력과 오랜 작업 시간이 필요합니다.
높은 완성도의 입체 영상을 원할수록 이러한 요구는 더욱 높아집니다.
현재 기존 2D 영화를 3D로 컨버팅하여 재개봉하는 경우, 이러한 방식으로 컨버팅 작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3D 입체 영상 컨버팅 방식
일방 영상의 입체 영상 컨버팅은 먼저 영상 정보를 분석해 사물과 배경, 전경과 후경 등을 분리하고, 각각의 사물과 배경에 대해 입체값을 부여해 입체 영상으로 만들어 내는 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컨버팅에는 자동(AUTO) 컨버팅과 반자동(SEMI AUTO) 컨버팅, 완전 수작업 컨버팅의 세 가지 작업 방식이 있습니다.
자동 컨버팅은 컨버팅 장치나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으면 자동으로 컨버팅해 주기 때문에 비용이 저렴하지만 입체 품질은 낮습니다.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수동 방식은 매우 우수한 입체감을 얻을 수 있지만, 많은 인력과 시간,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기존 영화의 3D 입체 영상으로의 컨버팅은 대부분 프레임별로 작업하는 완전 수작업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자동 컨버팅과 수작업 방식의 중간인 반자동 또는 혼합 방식으로 작업하는 컨버팅 업체들이 많습니다. 앞으로도 자동 컨버팅 시스템은 발전할 것이나, 자동 컨버팅 방식은 일시적인 방편일 뿐 점점 사라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완성도 높은 컨버팅 작업에는 수동 방식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효율적인 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입니다.
컨버팅 작업은 높은 수준의 기술력과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합니다.
실사 입체 촬영과 비슷하거나 더 나은 수준의 품질을 위해서는 실사 입체 촬영을 실행하며 들어가는 것 이상의 비용, 시간, 노력이 필요합니다.
입체 컨버팅 역시 프리 프로덕션 단계부터 적절한 입체감을 관리, 연출해야 하며 이러한 직무를 수행하는 입체슈퍼바이저(stereoscopic supervisor)가 필요합니다.
3D 입체 영상 컨버팅 산업 동향
컨버팅이 활용되는 사례는 기존 과거 개봉 영과, 신작 영화, CF, 공연 영상의 입체화 등과 같이 무궁무진합니다.
기본적으로 컨버팅을 활용하면 모든 일반 영상 콘텐츠를 입체로 컨버팅할 수 있습니다.
하이브리드(Hybrid) 방식으로 작업된 아바타도 일부 영상은 컨버팅 방식(인도의 Prime focus가 작업)으로 입체화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D 입체 컨버팅 콘텐츠에 대한 수요는 최근 미국 할리우드를 중심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2011년 애니메이션 <라이온킹>을 3D로 컨버팅해 재개봉한 <라이온킹3D>는 미국 박스오피스 2주 연속 1위를 하며, 컨버팅 콘텐츠의 가능성을 확인했고, 이후 <스타워즈>(2012년 2월), <미녀와 야수>(2012년 3월), <타이타닉>(2012년 4월), <니모를 찾아서>(2012년 9월) 등도 3D로 컨버팅 되었습니다.
국내에서도 2012년 영화 <괴물>이 3D로 컨버팅 되었고, 이후 3D 컨버팅 시장을 확장해가고 있습니다. 기존의 2D 영화를 변환 후 재개봉하여 이윤을 만들어 내고 있듯이 3D 변환 사업은 새로운 수익 창출로 이어져 그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 점에 있어서 변환되었을 때 입체감이 잘 표현될 수 있는 2D 영상을 잘 고려해서 선별해야 합니다.
3D 입체 영상 작업 시 변환 작업은 부가적으로 또는 병행해서 이루어져야 되는 필요 사항으로 컨버팅 기술이 발전하면 할수록 입체 영상 작업 시 그 비중이 갈수록 커질 것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3D 콘텐츠 수량은 매우 빠르게 늘고 있는 가운데, 향후 적어도 입체 영화 시장 성장의 절반 이상은 컨버팅 시장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3D 입체 영상 컨버팅 방식
구분 | 자동(auto) | 반자동(semi-auto) | 수동(수작업) |
특징 | TV나 컴퓨터에 내장된 소프트웨어로 일반 영상을 입체 영상으로 실시간 자동 컨버팅 |
소프트웨어로 기본적인 입체 컨버팅을 거친 후 수작업을 거쳐 입체 영상물의 완성도를 높임 | 작업자가 전용 툴을 이용해 수작업으로 입체 변환 |
입체 품질 | 하 | 중 | 상 |
활용 사례 | TV에 탑재, 기존 일반 영상의 자동 입체 영상 컨버팅 | 영화, 드라마 등 영상 콘텐츠의 입체 컨버팅 |
이번 글에서는 3D 입체 영상 컨버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D
'영상제작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체 영상 편집 (2) | 2024.04.15 |
---|---|
3D 입체 디스플레이 (0) | 2024.04.14 |
3D 입체 영상 이론 3 (0) | 2024.04.13 |
3D 입체 영상 이론 2 (0) | 2024.04.12 |
3D 입체 영상 (1) | 2024.04.11 |